728x90
반응형
1065번: 한수
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,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.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. N이 주어졌을 때, 1보다 크거나 같고, N보다 작거나
www.acmicpc.net
한수라는 개념이 나오는데, 등차수열의 성질만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.
등차 수열의 성질을 예를 들어가며 빠르게 설명해볼게요.
135 숫자를 '1' , '3', '5' 이런식으로 나누었을 때 (100의 자리와 1의 자리 합) 1/2이 10의 자리 숫자와 동일합니다.
( 1 + 5 ) / 2 = 3
이건 자리 수가 홀수 일때 가능한데, 문제 범위가 1000미만이기 때문에 설명은 이만큼이면 된거 같습니다.
바로 코드를 보시죠.
100아래의 숫자들은 모두 한수이니, 100미만과 100이상을 따로 처리해주었습니다.
간단하죠?
이렇게 해서 1065번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.!
'Python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675번 문제 풀이 - 공부하는 도비 (0) | 2020.12.10 |
---|---|
백준 10809번 문제 풀이 - 공부하는 도비 (0) | 2020.12.09 |
백준 4673번 문제 풀이 - 공부하는 도비 (0) | 2020.12.05 |
백준 8958번 문제 풀이 - 공부하는 도비 (0) | 2020.12.04 |
백준 4344번 문제 풀이 - 공부하는 도비 (1) | 2020.1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