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특정 연산을 중복해서 여러 번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'+, -, *, /' 연산을 해주는 코드가 3번 필요하다면, 아래 코드처럼 비 효율적인 방법으로 실행해야 합니다. 위의 코드를 보면, (a, b), (c, d), (e, f) 각각의 변수가 모두 동일한 연산을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 이 처럼 반복되는 코드를 줄이고자 메소드라는 개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. * 메소드란, 간단히 코드 재사용과 유지 보수를 쉽게 하기 위한 도구입니다. : 메소드를 정의할 땐, 매개변수(인자)의 유무, 반환 값의 유무 에 따라서 크게 4가지로 표현이 됩니다. 1) 매개변수(인자) X, 반환 값 X : 기본 형태인 메소드를 정의해보았습니다. 반환 값이 없을 때는 void라는 단어..